티스토리 뷰
목차
장애아를 키우는 가족들은 특별한 도움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번에는 장애아 가족 양육 지원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과 이용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장애아 가족들을 위한 지원 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아 돌봄 서비스란?
장애아동의 가정에서 장애아 돌보미가 아이들의 학습, 놀이, 신변보호와 외출 등을 지원하여 장애아 가족들의 돌봄 부담을 덜어주고 부모나 보호자들이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입니다.
장애아 돌봄 서비스 이용 대상
만 18세 미만의 심한 장애를 가진 아이와 함께 생활(생계·주거)하는 가정
* 「장애인복지법」 등록 기준
장애아 돌봄 서비스 이용 절차
신청 본인 또는 부모·가구원·대리인 등이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의 읍·면·동 또는 시·군·구를 방문하여 신청서 및 관련 서류를 제출합니다.
- 소득조사 소득조사를 통한 대상자 조사 및 상담
- 상담 17개 시·도별 사업시행기관에 서비스 이용 관련 상담 신청
- 장애아 돌보미 매칭 활동 가능한 장애아 돌보미와 연계
- 서비스 대상자 선정·통지 선정 및 결과 통지
- 서비스 이용 시작 돌봄 서비스 이용
위의 절차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 돌봄 서비스 이용 금액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연 960시간 무료 이용! (월 80시간, 최대 140시간)
구분 | 시간당 이용 요금 | ||
연 960 시간 이내 | 연 960 시간 초과 | 비고 | |
기준 중위 소득 120% 이하 (본인 부담 비율) |
무료 (본인 부담 없음) |
11,850원 (전액 본인 부담) |
연 960시간 초과 시, 시간당 이용 요금 동일 |
기준 중위 소득 120% 초과 (본인 부담 비율) |
4,740원, (40%) |
기준 중위소득 120% 초과 가구의 경우, 연 960시간까지는 40%의 본인부담금을 지불하고 서비스 사용이 가능합니다.
* 소득 판정기준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기준으로 하여, 가구원 수에 따라 소득기준이 정해집니다.
휴식 지원프로그램 내용
▶장애아 가족 문화, 교육 프로그램, 가족 캠프 등의 가족 여가 활동 지원
▶장애를 가진 아이를 둔 부모들이 함께 모여 정보를 나눌수 있는 '자조 모임'을 지원
▶장애 아동 가족의 심리 및 정서적 어려움 등의 해결을 돕기 위한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지원
▶부모 교육, 비장애 형제자매 교육, 가족관계 개선 등 가족교육 프로그램 제공
장애아 돌봄서비스, 휴식지원프로그램 서비스 신청
전국 17개 시·도별 각 시행기관에 신청합니다.
지역 | 기관 단체명 | 연락처 |
서울 | (사)서울시장애인부모회 | 02-356-4889 |
부산 |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 051-790-6125 |
대구 | (사)대구광역시장애인부모회 | 053-624-2600 |
인천 | (사)인천광역시장애인부모회 | 032-818-2096 |
광주 | 광주광역시동구장애인복지관 | 062-229-9701 |
대전 | (사)대전광역시장애인부모회 | 042-488-9457 |
울산 |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 052-242-1780 |
세종 | 사회복지법인 세종중앙 | 044-866-0180 |
경기 | (사)한국장애인부모회 경기지회 | 031-239-6393 |
강원 | 강원도장애인종합복지관 | 033-255-2491 |
충북 | (사)한국장애인부모회 충북지회 | 043-237-8304 |
충남 | (사)충청남도장애인부모회 | 041-338-1762 |
전북 | (사)장애인인권연대 | 063-901-1131 |
전남 | 순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 061-755-4523 |
경북 | (사)가경사회서비스지원센터 | 054-701-0420 |
경남 | (사)경상남도장애인부모연대 | 070-7725-3967 |
제주 | (사)제주특별자치도장애인부모회 | 064-725-1372 |
결론
이번에는 장애아 가족 양육 지원 서비스의 이용 대상, 이용 절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장애아를 키우는 가족들은 많은 어려움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이용 대상은 주로 장애아를 가진 가정이며, 이용 절차는 시행 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장애아 가족 양육 지원 서비스는 장애아 돌보미를 지원하여 가족들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장애아 가족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행복한 가정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중장년·가족돌봄청년 일상돌봄서비스 이용대상, 종류, 신청방법
중장년·가족돌봄청년 일상돌봄서비스 이용대상, 종류, 신청방법
아프거나 고독사 위험이 높은 중장년이나 학업, 근로와 가족 돌봄을 동시에 해야 했던 청년의 일상을 회복하고자 중장년층, 가족 돌봄 청년도 일상 돌봄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에
inwelfare.tistory.com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대상자, 신청 절차 알아보기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대상자, 신청 절차 알아보기
2025년 노인인구가 1천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75세 이상의 노령인구 증가로 의료 및 돌봄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됩니다. 따라서 현재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번에는
inwelfare.tistory.com
교육비 지원 사업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처, 대상자, 신청 및 사용방법
교육비 지원 사업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처, 대상자, 신청 및 사용방법
2023학년도부터 저소득층 가구 자녀의 교육비를 덜어드리는 초중고 학생 교육비 지원 사업에 대한 교육급여가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이번에는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처, 지원대상, 지원
inwelfare.tistory.com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한시 특별 지원 내용,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살펴보기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 한시 특별 지원 내용, 지원 대상, 신청 방법 살펴보기
정부에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월세 지원 정책을 발표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내용,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
inwelfare.tistory.com
기초생활보장제도 내용, 급여 종류, 모의계산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기초생활보장제도 내용, 급여 종류, 모의계산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기초생활보장제도는 빈곤층을 대상으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내용과 급여 종류, 모의계산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자
inwelfare.tistory.com
'복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대상 1유형 2유형, 지원내용 및 지원 신청 알아보기 (0) | 2023.07.16 |
---|---|
교육비 지원 사업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처, 대상자, 신청 및 사용방법 (0) | 2023.07.15 |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 전략 알아보기 (0) | 2023.07.11 |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대상자, 신청 절차 알아보기 (0) | 2023.07.11 |
중장년·가족돌봄청년 일상돌봄서비스 이용대상, 종류, 신청방법 (0) | 2023.07.10 |